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2014) 책 소개

by rosegarden3 2025. 1. 7.
반응형

소년이온다 책 사진

책 소개

『소년이 온다』는 2014년에 출간된 한강 작가의 소설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배경으로 한 작품입니다.

마침 시기도 시기이거니와 책의 내용과 현재의 계엄사태까지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이 소설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벌어진 비극적인 사건을 중심으로,

당시의 참상을 겪은 사람들의 아픔과 고통을 섬세하게 그리고 있습니다.

주인공 동호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이 어떤 비극을 겪는지 다시한번 책을 통해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와 미래를 대응했으면 좋겠다는 바램이 들었습니다.

 이 소설은 단순히 과거의 사건을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동호' 라는 인물과 주변 인물들의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때를 중심으로 당시 광주시민들이 어떻게 지켜내려 했는지, 또 계엄으로 인해  '파괴된 영혼' 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현재를 살아가는 독자들에게도 깊은 울림을 전달합니다. 

권력의 탄압속 존엄성을 지키고 국가의 반하는 행동이 아닌 나라를 지키고 싶은 마음이 간절한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작가는 폭력과 죽음 속에서도 인간의 존엄성을 잊지 않고, 우리가 어떻게 고통을 기억하고 치유할 수 있는지를 묻고 있습니다.

줄거리

이야기는 15세 소년 동호가 계엄군의 무자비한 진압 속에서 친구의 시신을 찾기 위해 체육관으로 가는 장면에서 시작됩니다. 동호는 시신을 수습하는 일을 돕다 참혹한 광경을 마주하고, 이후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게 됩니다.

소설은 동호를 중심으로, 그의 가족과 주변 인물들의 상처와 고통을 다양한 시점에서 풀어냅니다.

동호의 어머니는 아들의 죽음 이후 삶의 의욕을 잃고 상실감 속에서 살아가며, 생존자들은 고문과 폭력의 상처를 안고 살아갑니다. 작가는 이들의 삶을 통해 비극적인 역사의 연속성과 그로 인한 정신적 후유증을 강조합니다.

특징 및 문학적 가치

  • 다중 시점 서술: 총 6개의 장과 에필로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마다 다른 인물들의 시점에서 5.18 당시와 그 이후의 삶을 보여주고 있으며.각자의 고통과 상처를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 역사적 사실 기반: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라는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하여, 역사적 비극을 문학적으로 재해석 했습니다.
  • 서정적 문체: 두번째 장에서는 죽은 정대의 영혼이 화자로 등장하게 됩니다.
  • 이 부분에서 작가 의 뛰어난 상상력과 섬세한 료사가 돋보입니다.
  • 정대의 시점을 통해 우리는 죽음 이후의 세계를 상상하게 되며, 동시에 생명의 소중함과 폭력의 무의미 함을 깨닫게 됩니다.
  • 인간의 존엄성 탐구: 폭력과 죽음 속에서도 인간의 존엄성과 연대의 의미를 깊이 있게 그려냅니다.
  • 트라우마와 기억: 5.18 이후 살아남은 사람들의 죄책감과 트라우마를 다룹니다. 생존자들의 고통을 토해 우리는 역사적 사건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의 깊이를 느끼게 하고, 개인의 내면에 집중하여 , 집단적 기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수상 내역

『소년이 온다』는 출간 이후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2016년 맨부커 인터내셔널 상 후보에 오르는 등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 소설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면서 그녀의 작품들이 뜨겁게 주목받고 있으며,

한국 현대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세계 독자들에게도 보편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결론

『소년이 온다』는 단순한 역사 소설을 넘어, 인간의 상처와 치유, 기억의 의미를 깊이 탐구한 작품입니다.

한강의 섬세한 문체와 강렬한 주제가 어우러져,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합니다.

마지막 장에서의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고통을 통해 5.18 이 개인과 가족에게 미친 영향을 절절하게 보여주면서, 독자들의마음을 가장 아프게 하는 부분입니다.

주인공 동호의 죽음은 단순한 한 개인의 비극을 넘어, 역사의 비극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이 작품은 역사적 사건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서, 인간의 존엄성, 국가 폭력의 잔인함, 그리고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깊은 메세지를 담고 있으며, 미래 세대에게도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문학적 가치를 지닌 소설로 기억될 것입니다.

반응형